서울시가 엄마 아빠의 육아부담을 덜어주고, 아이 키우기 좋은 서울을 만들기 위해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18일 발표했습니다. 엄마 아빠(양육자)의 행복에 초점을 맞춘 서울시 최초 종합계획으로, 시는 이를 통해 아이를 낳기만 하면 사회가 키워준다는 분위기를 서울부터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는 성장 과정에서 가장 손이 많이 가는 시기인 0~9세 아이들을 서울시가 함께 키운다는 각오로, 부모들이 아이의 연령대별 및 상황별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업은 크게 1.안심돌봄 2. 편한 외출 3. 건강힐링 4. 일 생활 균형 등 4대 분야 28개 사업으로 구성됩니다. 신규 투자 1조 9,300억 원을 포함해 5년간 총 14조 7,000억 원이 투입된다고 합니다.
시는 사업에 앞서 엄마아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자녀를 키우며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엄마 아빠, 인터넷 육아카페 등을 통해 현실의 목소리도 들었다고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육, 여성, 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 자문과 서울시 전 부서의 수차례 회의와 검토를 거쳐 이번 프로젝트를 다듬었다고 합니다.
1. 안심돌봄 : 36개월 이하 육아 조력자 돌봄 수당 및 바우처 신설
"안심 돌봄" 분야에서는 양육자가 가장 필요한 1순위 정책으로 꼽은 "긴급 돌봄"과 "공적 돌봄 기관 확대"를 위해 관련 서비스와 인프라를 보다 촘촘하게 구축하는데 중점을 뒀다고 합니다. 조부모 등 4촌 이내 친인척이 아이들 돌보는 경우 아이 1명당 월 30만 원의 "육아 조력자 돌봄 수당"을 지원(2명은 45만 원, 3명은 60만 원)한다. 민간 아이돌보미를 고용하는 경우엔 시와 협력된 민간 서비스 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동일하게(1명당 최대 월 30만 원) 제공한다.
대상은 36개월 이하 영아를 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가구이며, 지원기간은 최대 12개월이다. 내년 1만 6,000명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4만 9,000명(누계)을 지원할 계획이다. 갑자기 아이가 아플 때 대신 병원에 데려가 주고 일시 돌봄까지 해주는 "아픈 아이 일시돌봄 / 병원동행 서비스"는 내년 5개 자치구에서 시범 운영한다. 맞벌이 부부에게 꼭 필요한 "등 하원 전담 아이 돌봄 지원"도 내년부터 운영을 시작합니다.
이와 함께 365일 24시간 긴급 보육을 강화합니다. 거점형 야간보육, 시간제 보육 어린이집 등 "긴급 돌봄 제공 기관"을 현재 745개소에서 2026년까지 1,226개소로 확대합니다. 놀이와 돌봄을 모두 지원하는 "서울형 키즈카페"는 2026년까지 동별 1개꼴인 400개소로 확대한다고 합니다.
3~36개월 영아를 전담하는 "영아전담 아이돌보미"는 올해 260명에서 2026년 1,100명까지 늘리고, 12개월 미만의 0세를 전담하는 "0세 전담반"도 어린이집에 신설해 영아 양육자의 보육 수요를 충족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국공립 서울형 어린이집은 2026년 2640개소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내 공보육 비중을 현재 45.3%에서 71.1%까지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2. 편한 외출 : "서울 엄마 아빠 VIP존" 66개소, 카시트 장착 "서울 엄마 아빠 택시" 운영
아이와 함께 하는 외출이 불편하지 않도록 기저귀 교환대, 아기 쉼터(수유실), 휴식공간 등을 갖춘 "서울 엄마 아빠 VIP존"을 올해 2개소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66개소로 늘린다고 합니다. 한강공원이나 DDP 같은 다중이용시설에는 잠시 머무르면서 마음껏 쉴 수 있는 개방형 휴식공간을, 세종문화회관 등 문화시설과 전통시장에는 아이를 잠시 맡기고 공연을 보거나 장을 볼 수 있도록 돌봄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시설로 조성한다고 합니다.
남녀 구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가족 화장실"은 올해 13개소를 시작으로 169개소로 확대합니다. 특히, 한강공원과 안양천, 중랑천 등 가족 단위 이용이 많은 수변공간에는 이동식 화장실 등을 추가 설치한다고 합니다. 공영주차장 여성 우선 주차장은 임산부, 영유아, 이동이 불편한 가족을 동반한 차량을 위한 "가족 우선 주차장"으로 전환합니다. 플랫폼 택시업체와 연계해 카시트가 장책돼 있는 "서울 엄마 아빠 택시"도 운영합니다. 24개월 이하 영아 양육 가구에 연 10만 원의 택시 이용 포인트를 지급하고, 내년 10개 자치구에서 시범운영 후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3. 건강힐링 : 출산 엄마 무료 마사지, 스마트 건강관리 등 신설
출산이 여성의 건강을 좌우하는 시기인 점을 감안해 출산 후 4주 이내 서울시내 모든 출산 여성에게 전문 간호사가 방문해 무료 마사지를 해줍니다. "출산맘 행복동행 마사지"는 내년 9,800명을 대상으로 시작합니다. 출산 후 60일 이내 모든 가정을 대상으로는 "산후 건강관리 도우미"가 방문해 산모 영양관리, 신체회복, 신생아 수유/위생관리, 식사 돌봄 등도 지원합니다. 출산 후 1년 이내 엄마에게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을 통해 스마트밴드를 무료로 대여해주고 건강관리를 해줍니다.
문화생활을 할 시간이 부족한 엄마 아빠를 위해 세종문화회관 등에서 전용 문화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서울도서관에서는 모든 예비 엄마를 대상으로 육아서 1권, 그림책 2권, 서울시 육아정보 리플릿으로 구성된 "책 꾸러미"를 선물한다고 합니다. 스마트폰 과다노출,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등 급변하는 보육환경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의 언어, 지능 발달 지연을 예방하고 전문가 치료까지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는 "서울 아이 발달지원 센터"도 내년 3월, 대방동 스페이스 살림에 개소합니다.
4. 일 생활 균형 : 육아휴직 장려금 최대 120만 원, 가사서비스 바우처 신설 등
"일 생활 균형"분야 사업을 통해 아이를 키우면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집안일 걱정을 덜어 아이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해 내년부터 "엄마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을 최대 120만 원 지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6개월 이상 육아휴직자가 대상이며, 육아휴직 6개월 경과 시 60만 원, 12개월 경과 시 60만원 을 추가 지급합니다. 내년 1만 명을 시작으로 2026년 3만 4,000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에 청소, 세탁, 정리정돈, 취사 등 하루 4시간 가사서비스 지원도 시작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이 대상이며, 바우처 형태로 1가구당 총 6회(1회 4시간)를 제공합니다. 내년 1만 3,000가구를 시작으로 2026년 5만 2,000가구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엄마 아빠의 식사 준비 부담도 덜기 위해 기존에 야간 연장(~22시)을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던 어린이집 석식 대상을 연장 보육(16:00~19:30) 이용 아동까지 확대합니다. 방학 중 키움센터(일반, 거점형)를 이용하는 모든 아동 중식을 무료로 지원하며, 편의점 업체와 협력해 0~12세 자녀가 있는 가정에는 도시락, 밀키트 할인도 추진합니다.
임신, 출산, 육아로 일터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경력 보유 여성들을 위한 지원방안도 마련합니다. 중위소득 150% 이하 3040 경력 보유 여성에게 구직에 필요한 활동비 등 "우먼업 구직활동지원금"을 최대 90만 원을 지원한다. 자격증이나 전문경력을 보유한 여성은 "우먼업 인턴십"을 통해 민간기업 일 경험(3개월, 월 200만 원 급여)을 제공하고 취업연계를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관련 정보를 원스톱으로 확인하고 예약까지 할 수 있는 서울 엄마아빠 만능 양육 포털"만능키(가칭)"를 내년 8월까지 구출할 예정입니다.
'정부지원사업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정부지원금 총정리 : 꼭 알아야 할 지원 혜택과 신청 방법 (2) | 2025.03.10 |
---|---|
서울 안심소득 (0) | 2022.09.04 |
건축물 관리점검 우수사례 경진대회 (0) | 2022.08.23 |
청년월세 특별지원 (0) | 2022.08.23 |
공동주택 층간소음 개선 방안 (0) | 2022.08.22 |